목록전체 글 (35)
어쩌다데싸
업무상 추천시스템을 공부해야 할 일이 생겼다. 영어로 된 추천시스템 관련 논문을 정리하라는 미션이 내려왔기에 하는 김에 여기에도 정리하려고 한다. IT에서는 논문을 읽기 위해서라도 영어 공부 꾸준히 해야 하는 듯... 1. 추천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정보 필터링 기술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좋아할 아이템을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이 나를 이끌었다던가, 넷플릭스에서 회원님이 좋아하실 영상을 본다던가 등 우리는 일상 속 많은 곳에서 추천시스템을 접하고 있다. 2. 추천시스템 방식 크게 Colloborative Filtering(CF)와 Content-based Filtering 방식이 있다. 1) Content-based Filtering 콘텐츠의 속성에 기초해서 유사한 콘텐츠를 추..
데이터 분석가로 입사한 후 가장 많이 했던 일 중 하나는시각화.데이터 핸들링과 시각화는 구글링 하지 않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해야 한다는 생각에시각화 기능을 정리 중. 차근차근 보다는 내가 주로 사용했던 옵션 위주로 정리하고 있다. 1. 한글 경로 설정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seaborn as sns# 한글 폰트 경로설정from matplotlib import font_manager, rc font_path = "C:/Windows/Fonts/malgun.ttf"font_name = font_manager.FontProperties(fname=font_path).get_name()rc('font', family=font_name)그냥 matplotlib을 쓰다..
가상환경에 대해 들은 적은 있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딱히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알 수 없는 오류들이 생기고 그게 버전 문제였다는 것을 깨닫고 나서는초보자는 모르는게 생겼을 때 바로 해결해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1. 가상환경의 필요성가상환경 없이 패키지를 설치하게 되면 패키지들끼리 서로 충돌하거나 호환이 되지 않는 등 귀찮은 오류가 생긴다.각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패키지만 설치하고 버전을 관리하면 관리하기가 편하다.당장 여러 프로젝트를 하지 않는 경우 (과거의 나처럼) 가상환경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상환경에 익숙해지는 것이 미래의 나에게 좋을 것 같다. 2. 아나콘다_가상환경 virtualenv 나 venv 등 가상환경을 만드는 방식은 다양..